LD와 LC
LD(Lethal Dose)
독물의 투여량에 대한 공시생물의 감응작용을 24시간 내 치사율로 나타낼 수 있을 떄의 투여량이다.
LC(Lethal Concentration)
공시생물의 감응작용을 치사율로 나타낼 수 있을 때 독물의 기중 농도이다.
LD50, LC50 개요
반수 치사량(Lethal Dose 50, LD50)과 반수 치사농도(Lethal Concentration, LC50)는 피실험동물에 실험대상물질을 투여할 때 피실험동물의 절반이 죽게 되는 양을 말한다.
- 화학물질의 급성 독성 지표로 사용된다.
- LD, LC 값이 작을수록 급성 치사 독성이 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.
- LD는 주로 액체나 고체에 사용하고, 방사선의 경우 총 방사선량을 측정할 수 있기 떄문에 LD를 이용한다.
- LC의 경우 주로 기체에 대해 사용한다.
LD50 반수 치사량(Lethal Dose 50, LD50)
독성물질의 경우 실험체에 검체를 투여했을 때 실험체 중 50%가 사망하게 되는 양을 말하며, 단위는 체중(kg) 당 mg으로 나타낸다.
방사선의 경우 흡입 및 전신 조사를 통한 인체 실험에서 30일 이내에 피실험체의 50%가 사망한 방사선 양을 말하며, 단위는 R(뢴트겐), Rad 등의 단위로 나타낸다.
LC50 반수 치사농도(Lethal Concentration, LC50)
실험체에 검체를 일정 기간 흡입 노출 시켜 실험체 중 50%가 사망하게 되는 양을 말한다.
단위는 mg/L나 ppm을 사용한다.
LD50과 LC50의 활용
동물에 관해 급성 독성 정보를 평가할 때 사용
* 급성독성(Acute Toxicity)
급성독성이란 대상물질을 실험동물에 1회 또는 24시간이내에 수회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독성증상을 뜻하며, 통상적으로 검체투여후 14일 동안을 관찰기간으로 한다.
일반적으로 독성의 정도는 LD50(50% lethal dose)으로 표현한다.
원칙적으로 가능한 한 다양한 노출경로의 급성독성정보를 평가하여
어느 하나의 노출 경로에서라도 독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'독물',
독물로 판정되는 노출경로가 하나도 없으며 어느 하나의 노출경로에서 극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'극물'로 판정한다.
경구 | 독물 : LD50이 50mg/kg이하인 것
극물 : LD50이 50mg/kg 초과 30mg/kg이하인 것
|
|
경피 | 독물 : LD50이 20mg/kg이하인 것
극물 : LD50이 20mg/kg초과 1,00mg/kg이하인 것
|
|
흡입 | 가스 | 독물 : LC50이 50pm(4시간) 이하인 것
극물 : LC50이 50pm(4시간) 초과 2,50pm(4시간)이하인 것
|
증기 | 독물 : LC50이 2.0mg/L(4시간) 이하인 것
극물 : LC50이 2.0mg/L(4시간) 초과 10mg/L(4시간)이하인 것
|
|
먼지, 안개 | 독물 : LC50이 0.5mg/L(4시간) 이하인 것
극물 : LC50이 2.0mg/L(4시간) 초과 1.0mg/L(4시간)이하인 것
|
'안전·보건·환경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산업보건 허용기준 - REL, PEL, TLVs (0) | 2023.05.31 |
---|---|
NOAEL, LOAEL, BMD 그리고 POD (0) | 2023.05.30 |
허용기준 - TWA, STEL, C (0) | 2023.05.30 |
IARC (0) | 2023.05.30 |
특별관리물질(CMR) (0) | 2023.05.22 |